TCP/IP
1. IP 헤더에 포함이 되지 않는 필드는?
① ACK → TCP 헤더에 있는 필드임.
② Version
③ Header checksum
④ Header length
3. ′255.255.255.224′인 서브넷에 최대 할당 가능한 호스트 수 는?
① 2개
② 6개
③ 14개
④ 30개 → 해당 서브넷을 2진수로 변환하면 11111111.11111111.11111111.11100000이다.
호스트 ID로 할당 가능한 비트는 마지막 '00000'이므로, 이를 10진수 계산으로 변경하면 (16+8+4+2+1=)32이다.
여기에서 게이트웨이인 1과, 브로드캐스트인 256을 제외하면 32-2=30이 된다.
6. 서브넷 마스크(Subnet Mask)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① A, B, C Class 대역의 IP Address는 모두 같은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한다.
→ Class A: 255.0.0.0
Class B: 255.255.0.0
Class C: 255.255.255.0
이므로, 세 대역의 IP Address는 모두 다른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한다.
② 하나의 네트워크 클래스를 여러 개의 네트워크로 분리하여 IP Address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.
③ 서브넷 마스크는 목적지 호스트의 IP Address가 동일 네트워크상에 있는지 확인한다.
④ 서브넷 마스크를 이용하면, Traffic 관리 및 제어가 가능하다
개념 정리
- STMP
- 'Simple Mail Transfer Protocol'의 약자
- 인터넷 전자 우편을 위한 프로토콜
- TFTP
- 'Trivial File Transfer Protocol'의 약자
- UDP 이용. (속도가 빠른 대신 데이터 성공적 전달 보장 불가)
- ARP
- IP Adress 이용해 물리적인 네트워크 주소(MAC) 얻음
- OSI 7계층의 계층별 PDU 명칭(Protocol Data Unit)
- 물리 계층: 비트
- 데이터링크 계층: 프레임
- 네트워크 계층: 패킷
- 전송 계층: 데이터그램
- 세션 계층: 메세지
- 표현 계층: 메세지
- 응용 계층(Application): 메세지
네트워크 일반
NOS
네트워크 운용기기
'네트워크 관리사 2급 스터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3. NOS(Network Operating System)_리눅스 (0) | 2024.08.02 |
---|---|
1-1. 네트워크 일반_네트워크 개요 (0) | 2024.07.28 |